부산 영도구의 HJ중공업(옛 한진중공업) 전경. HJ중공업 제공
조선업계의 수주 증가로 부산지역 조선기자재 업계의 인력부족 현상이 본격화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조선기자재 업계는 올해 하반기부터 수주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용접 등 생산인력부터 액화천연가스(LNG) 관련 기술을 개발할 연구인력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인 인력 부족 현상에 시달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이 26일 부산조선기자재공업협동조합이 조사한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 291곳 중 105개 기업이 706명 규모의 채용을 진행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 부문에서는 단순 노무 직무가 129명으로 가장 많았고, 가공(81명)과 용접(64명)이 뒤를 이었다.
기술 부문에서는 설계 직무가 7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개발이 64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창용 조합 사업관리본부장은 “회원사 기준으로 지난 3년간 약 30곳이 구조조정을 하거나 폐업 등의 과정을 거쳤다”며 “올해부터 채용이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채용 규모는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채용 과정은 순탄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부터 업계 전반의 구조조정이 이뤄지면서 기업들이 요구하는 숙련공이나 LNG 관련 기술 개발을 전담할 연구 인력이 대거 빠져나갔기 때문이다.